송시열의 학문 세계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2-27 12:40
본문
Download : 송시열의 학문 세계.hwp
우암은 선조 40년(1607) 11월 신축일(12일)에 충청도 옥천군 구용촌외가에서 태어났다. 이씨는 문정공 목은 이색(1328~1396)의 후손이다. 24세인 인조 8년(1630) 복을 벗고 연산의 사계 김장생에게 나아가 성리학과 예학을 배웠고, 25세인 인조 9년(1631) 8…(투비컨티뉴드 )
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. 여기에는 율곡 이이에 의해 집대성된 조선 성리학이 사계 김장생의 예학을 거쳐 전수되었다. 12세인 광해군 10년(1618) 아버지로부터 『격몽요결』『기묘록』등을 배우면서 주자 · 이이 · 조광조 등을 흠모하도록 가르침을 받았다. 11세인 광해군 9년(1617) 아버지 수옹공이, 새 진사로 혼자서 서궁을 배알했다는 것으로 금고되어, 고향으로 돌아와 두문불출하며 서안을 정돈하고 글읽기와 아들 교육을 일삼았다. 아무쪼록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송시열의학문세계 , 송시열의 학문 세계인문사회레포트 ,






송시열의학문세계
,인문사회,레포트
Download : 송시열의 학문 세계.hwp( 42 )
다.
송시열의 학문 세계
순서
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.
우암 송시열은 선조 40년(1607)에 태어나 숙종 15년(1689)까지 광해군 · 인조 · 효종 · 현종 · 숙종대 붕당정치기를 살았던 인물이다. 21세인 인조 5년(1627) 금나라 오랑캐들이 침입하게 되자, 3월에 맏형 송시희가 오랑캐와 싸우다 죽었다. 8세인 광해군 6년(1614)부터 친척인 송준길 (1606~1672)의 집에서 함께 공부하게 되어, 훗날 양송을 불리는 특별한 교분을 맺게 되었다. 이러한 조선성리학의 입장에서 조선 후기의 지배적인 철학 · 정치 · 사회사상을 정립하였다.
할아버지는 송응기이며, 아버지는 송갑조 이다. 아무쪼록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 우암의 본관은 은진, 아명은 성뢰, 자는 영보, 호는 우암 또는 화양동주이다. 19세인 인조 3년(1625) 도사 이덕사의 딸 한산 이씨와 혼인하였다.
설명
레포트/인문사회
1.서 론
2.본 론
(1) 우암 송시열의 생애
1) 가계와 학풍
2) 병자호란과 북벌론
3) 예송과 정통론의
(2) 송시열의 학문
1)조선시기 주자학의 정립과정
2)주자학의 발달과 조선의 주자학
3)송시열의 주자학 보수의 직접적 배경과 그의 학문적 세계
3.결 론
(1) 우암 송시열의 생애와 학풍
1)가계와 학풍
송시열의 학문은 전적으로 주자의 학설을 계승한 것으로 자부하였으나, 조광조(1482~1519)→이이(1536~1584)→김장생(1548~1631)으로 이어진 조선 기호학파의 학통을 충실히 계승 · 발전시킨 것이기도 하였다. 수옹 송갑조는 선주에서 인조때의 문신으로 자는 원유, 시호는 경헌이고, 최립(1539~1612)의 문인이다.